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화 완전 가이드
5편. 여러 블로그, 하나의 애드센스로 통합 관리하기
티스토리에서 2개, 3개 이상의 블로그를 운영 중이라면 가장 궁금한 점 중 하나는 이겁니다.
“블로그마다 애드센스 계정을 따로 만들어야 하나요?”
정답은 “아닙니다.”
애드센스는 ‘계정 단일 정책’을 따릅니다. 즉, 한 명당 하나의 애드센스 계정만 생성 가능하며, 그 계정 하나로 여러 개의 블로그를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하나의 애드센스로 통합 관리하기 |
1. 여러 블로그를 하나의 애드센스에 연결하는 방식
앞선 3편에서 소개한 ‘사이트 추가’ 기능을 사용하면, 하나의 애드센스 계정 안에 여러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등록이 가능합니다:
- blog1.tistory.com → 첫 승인 블로그
- blog2.tistory.com → 추가 등록
- blog3.tistory.com → 추가 등록
각 블로그가 모두 승인된 이후에는, 하나의 애드센스 계정으로 수익을 확인하고 광고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수익과 트래픽 통계는 블로그별 확인 가능
애드센스 대시보드에서는 등록된 각각의 사이트별로 통계가 제공됩니다.
페이지뷰, 클릭 수, 예상 수익 등은 사이트별로 분리되어 확인할 수 있어, 어떤 블로그가 수익 효율이 좋은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별 광고 효율 비교, 카테고리별 전략 수립 등 데이터 기반 운영이 가능해집니다.
3. 광고 단위와 스타일은 공통 적용도 가능
애드센스는 광고 코드를 ‘자동 광고’ 또는 ‘수동 단위’로 나눕니다.
자동 광고 설정 시에는 각 블로그에 별도 수정 없이 광고가 자동 삽입됩니다.
수동 단위의 경우, 각 블로그별로 위치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고 단위별로 따로 설정해도 됩니다.
4. 계정 하나, 관리 하나, 수익은 통합
정리하자면, 5개까지 운영 가능한 티스토리 블로그를 각각 애드센스에 등록하면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블로그를’, ‘분리된 수익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복잡할 것 같지만 구조는 명확합니다. 승인 → 등록 → 광고 노출 → 수익 확인의 순서만 지키면 충분합니다.
💬 핵심 Q&A
A. 네, 구글 정책에 따라 계정은 하나만 유지하면서 여러 사이트를 등록해 수익화할 수 있습니다.
A. 가능합니다. 자동 광고 설정을 개별 블로그에 다르게 적용하거나, 수동 단위를 조정해 배치할 수 있습니다.
A. 아닙니다. 수익은 계정 단위로 통합 정산되며, 통계는 사이트별로 구분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편에서 5편까지 보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