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사이트맵 제출 방법
티스토리·워드프레스·블로그스팟 최신 주소 형식 안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을 끝냈다면, 그다음 단계로 RSS 주소와 사이트맵 주소 제출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은 네이버가 내 블로그 글을 더 잘 수집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플랫폼마다 주소 형식이 조금씩 달라서 초보자 분들은 헷갈릴 수 있어요. 오늘은 제가 직접 운영하며 확인한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블로그스팟 각각의 정확한 제출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RSS와 사이트맵이란?
RSS는 새 글이 올라왔을 때 그 정보를 제공하는 주소이고, 사이트맵은 내 사이트에 어떤 페이지가 있는지를 검색엔진에게 알려주는 파일입니다. 둘 다 제출하면 검색 수집 효율이 훨씬 높아지며, 특히 사이트맵은 구조적으로 전체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티스토리 제출 방법
티스토리는 별도 설정 없이도 RSS와 사이트맵 주소가 자동 생성됩니다. 외부 도구나 파일 생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주소는 아래처럼 블로그 주소 뒤에 추가하면 됩니다.
구분 | 제출 주소 예시 |
RSS |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rss |
사이트맵 | https://블로그주소.tistory.com/sitemap.xml |
워드프레스 제출 방법
워드프레스는 기본 사이트맵이 wp-sitemap.xml 형태로 제공되며, Yoast나 All in One SEO 같은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주소 형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RSS는 기본적으로 /feed
형식입니다.
대표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RSS: https://사이트주소.com/feed
- 기본 사이트맵: https://사이트주소.com/wp-sitemap.xml
- Yoast SEO 사용 시: https://사이트주소.com/sitemap_index.xml
- All in One SEO 사용 시: https://사이트주소.com/sitemap.xml
블로그스팟 제출 방법
블로그스팟(Blogger)은 기본적으로 sitemap.xml과 RSS를 제공합니다. 특별한 설정 없이 블로그 주소 뒤에 아래 항목을 붙이면 됩니다. 단, 포스트 수가 많을 경우 Atom 피드를 나누어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 RSS 주소: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
- 사이트맵(전체):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sitemap.xml
- 페이지용 사이트맵: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sitemap-pages.xml
- Atom 피드: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500
Q&A 정리
Q1. RSS와 사이트맵 둘 다 꼭 제출해야 하나요?
꼭 둘 다 제출할 필요는 없지만, 둘 다 제출하면 수집률이 확실히 좋아집니다.
Q2. 티스토리는 사이트맵 제출 안 해도 되나요?
되긴 하지만, sitemap.xml이 자동 생성되니 그냥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주소만 제출하면 끝인가요?
제출 후에는 서치어드바이저에서 ‘수집 요청’도 꼭 눌러야 수집이 빨라집니다.